판사 출신으로 정치에 입문하여 울산광역시장과 집권 여당의 당대표까지 역임한 김기현 국회의원. 울산 남구 을 지역구에서 5선 고지에 오르며 탄탄한 정치적 기반을 다졌지만, 당대표 시절에는 여러 부침을 겪기도 했습니다. 보수 진영의 대표적인 중진 정치인 중 한 명인 그의 삶과 정치 여정, 주요 경력과 최근 활동까지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김기현 의원 기본 프로필
- 출생: 1959년 2월 21일 (현 66세, 2025년 3월 기준)
- 고향: 경상남도 울산군 강동면 (現 울산광역시 북구 강동동)
- 거주지: 울산광역시 남구 야음동,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
- 본관: 김해 김씨 (金海 金氏)
- 학력:
- 부산동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과정 수료
- 병역: 육군 대위 전역 (군법무관)
- 종교: 개신교 (장로회)
- 가족: 배우자 이선애, 슬하 1남 3녀, 남동생 김삼현
- 신체: 175cm
- 소속 정당: 국민의힘
- 지역구: 울산 남구 을 (제17대~19대, 제21대~22대)
- 재산: 약 70억 7,374만원 (2024년 제22대 총선 후보 등록 기준)
-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5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국민의힘 울산 남구 을 당협위원장
판사에서 울산시장, 5선 국회의원으로
김기현 의원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후 1983년 제25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15기)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했습니다. 군법무관 복무 후 부산지방법원 울산지원 등에서 판사로 재직하다 1993년 변호사로 개업하며 고향인 울산에서 활동 기반을 다졌습니다. 울산 YMCA 이사장, 울산광역시 고문변호사 등을 역임하며 지역 사회 활동에도 참여했습니다.
본격적인 정치 입문은 2004년 제17대 총선이었습니다. 한나라당 후보로 울산 남구 을에 출마하여 당선된 이후, 18대, 19대 총선에서도 연이어 승리하며 3선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습니다. 국회에서는 국토해양위원회 간사 및 위원장, 당 정책조정위원장, 대변인, 원내수석부대표, 정책위의장 등 주요 당직과 상임위 요직을 두루 거치며 정책 전문성과 정치력을 인정받았습니다.
2014년에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새누리당 후보로 울산광역시장에 도전하여 당선되었습니다. 시장 재임 시절, 그는 기업 투자 유치와 중앙 정치권과의 소통을 통해 울산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2018년 재선 도전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송철호 후보에게 패배하며 잠시 정치적 공백기를 갖게 됩니다.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후보로 자신의 지역구인 울산 남구 을에 다시 출마하여 당선, 4선 국회의원으로 국회에 복귀했습니다. 이후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거쳐 당대표까지 오르며 정치적 정점을 찍었지만, 동시에 시련의 시기를 겪기도 했습니다.
국민의힘 지도부: 원내대표에서 당대표까지, 그리고 갑작스러운 사퇴
국회 복귀 후 김기현 의원은 2021년 국민의힘 원내대표로 선출되어 당시 제1야당의 원내 사령탑을 맡았습니다. 이후 윤석열 대통령 후보의 당선에 기여하며 당내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고, 2023년 3월 전당대회에서 친윤계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결선 투표 없이 제2대 국민의힘 당대표로 선출되었습니다.
당대표 취임 초기, 윤석열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당정 관계를 구축하고 총선 승리를 이끌 것이라는 기대가 컸습니다. 그는 구자근 의원을 비서실장으로 임명하고 당직자 인선을 단행하며 당 장악력을 높여갔고,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을 예방하는 등 보수 통합 행보에도 나섰습니다.
하지만 당대표로서의 여정은 순탄치 않았습니다. 취임 이후 당 지지율 정체와 본인의 낮은 지지율,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울산 남구 나선거구 구의원) 패배 등으로 리더십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2023년 10월, 총선의 전초전으로 여겨졌던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의 참패는 그의 리더십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습니다.
이후 출범한 인요한 혁신위원회와의 관계도 껄끄러웠습니다. 혁신위는 당 지도부와 중진 의원들의 '희생'(험지 출마 또는 불출마)을 요구했지만, 김 대표는 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았고 결국 혁신위는 별다른 성과 없이 조기 해산 수순을 밟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김 대표가 자신의 지역구 사수에만 몰두한다는 비판과 함께 리더십 부재 논란이 거세졌습니다.
결국 2023년 12월 13일, 김기현 대표는 모든 일정을 취소한 뒤 전격적으로 당대표직 사퇴를 선언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의 갈등설, 혁신위의 압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되었으며, 그의 갑작스러운 퇴진은 당내외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제22대 총선과 최근 활동
당대표직 사퇴 이후, 22대 총선 공천 과정에서 김기현 의원의 거취는 큰 관심사였습니다. 당 지도부의 험지 출마 또는 불출마 압박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지역구인 울산 남구 을 출마 의지를 굽히지 않았습니다.
동일 지역구 3선 이상 중진에게 적용되는 경선 득표율 15% 감점 페널티를 안고 치른 경선에서 박맹우 전 울산광역시장을 꺾고 공천권을 확보했습니다.
본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박성진 후보와 맞붙어 12.5%p 격차로 비교적 여유롭게 승리하며 5선 고지에 올랐습니다. 다만, 울산 내 다른 국민의힘 후보들의 득표율이 상승한 것에 비해 김 의원의 득표율은 소폭 하락했는데, 이는 당대표 시절의 부정적 여론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결과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22대 국회 개원 후에는 외교통일위원회에 배정받아 활동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시도 당시, 다른 국민의힘 의원들과 함께 대통령 관저 앞에서 이를 저지하고 규탄 성명을 발표하는 등 여전히 친윤계 중진으로서의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결론: 부침 겪은 중진, 앞으로의 행보는?
판사로 시작해 울산광역시장, 집권여당 대표까지 역임하며 화려한 정치 경력을 쌓아온 김기현 국회의원. 탄탄한 지역 기반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5선 중진의 입지를 굳혔지만, 당대표 시절에는 리더십의 한계를 드러내며 큰 시련을 겪기도 했습니다.
당대표직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여전히 당내 중진으로서 그의 목소리와 행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과연 그가 지난 부침을 딛고 5선 중진으로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며 정치적 재기를 모색할지,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됩니다.
주호영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국회부의장 학력 경력 (대구 수성갑)-판사 출신 6선 중진
판사 출신으로 정치에 입문하여 대구 수성구에서 내리 6선에 성공한 주호영 의원은 대한민국 보수 정치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입니다. 국민의힘(전신 포함) 원내대표를 두 차례나 역임하며 탁월
celeb1.thinkaloudblog.com
권성동 국회의원 프로필, 지역구(강릉), 나이, 고향, 학력, 경력, 및 강원랜드·논란 (국민의힘 5선
강원도 강릉을 지역 기반으로 5선 고지에 오른 국민의힘 권성동 국회의원. 검사 출신으로 정치에 입문하여 당 원내대표까지 역임하며 보수 진영의 핵심 인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히 윤석
celeb1.thinkaloudblog.com
권영세 국회의원 프로필, 나이, 고향, 지역구, 학력, 부인, 가족, 종교, 군대 (국민의힘 비상대책
검사, 5선 국회의원, 주중대사, 통일부 장관, 그리고 여당의 비상대책위원장까지.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이력은 화려하고 다채롭습니다. 법조계, 입법부, 행정부, 외교 무대를 두
celeb1.thinkaloudblog.com